본문 바로가기

주택도시기금

전체메뉴

고객서비스

자주하는질문 주택도시기금에 대한 궁금하신 사항을 해결해 드리기 위해 자주 문의하시는 질문과 답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
648

  • 답변
   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에서 대면 접수로 진행
  • 답변
    ㆍ서울센터
    - 위치 : 서울시 강서구 화곡로 179, 대한상공회의소 기술교육센터 2층
    - 콜센터 : 1533-8119
    - 전화번호 : 02-6917-8119

    ㆍ인천센터
    - 위치 : 인천시 부평구 열우물로 90, 부평더샵센트럴시티 상가 A동 305호
    - 콜센터 : 1533-8119
    - 전화번호 : 032-440-1803~4
  • 답변

    ○ 소재지 주민센터에서 발급

  • 답변
   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에서 대면 접수로 진행
  • 답변

    HUG 전세피해지원센터에서 발급 가능

     - 위치 : 서울시 강서구 화곡로 179, 대한상공회의소 기술교육센터 2층

     - 콜센터 : 1533-8119

     - 전화번호 : 02-6917-8119

  • 답변

    「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지방이전계획」을 승인받은 이전 공공기관에 근무하고 「지방이전 공공기관 종사자 등에 관한 주택특별공급 운영기준(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-131호, 2012. 3. 22)」에 따른 「주택특별공급 대상자 확인서」를 발급받는 종사자(공공기관이 이전하는 지역의 광역자치단체와 인접 광역자치단체에 소재하는 주택을 구입ㆍ전세하는 경우에 한하며, “수도권정비계획법” 제2조 제1호에 따른 ‘수도권’은 제외)

  • 답변

    「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지방이전계획」을 승인받은 이전 공공기관에 근무하고 「지방이전 공공기관 종사자 등에 관한 주택특별공급 운영기준(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-131호, 2012. 3. 22)」에 따른 「주택특별공급 대상자 확인서」를 발급받는 종사자(공공기관이 이전하는 지역의 광역자치단체와 인접 광역자치단체에 소재하는 주택을 구입ㆍ전세하는 경우에 한하며, “수도권정비계획법” 제2조 제1호에 따른 ‘수도권’은 제외)

  • 답변

    □ 담보평가

     - 대출접수일(또는 대출승인일) 현재의 “가격정보”, “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공시가격”, “분양가액”, “감정가액” 순서로 평가


     ㅇ 가격정보를 이용한 평가방법

     - 한국부동산원(부동산테크) 시세정보의 하한가와 상한가를 산술평균한 값 또는 KB국민은행 시세정보의 일반평균가를 적용

     - 필로티 여부를 불문하고 등기사항전부증명서(1호, 101호 등)에 따른 아파트의 최저층과 아파트 외의 주택은 하한가 적용

     - 다만, 매매가액*(낙찰가액, 분양계약서 상 실매매액 등 매수인이 실제 지급한 금액)과 비교하여 낮은 금액을 가격정보로 간주

     * 매매계약서를 징구하여 확인하되, 소유권이전 후 대출 신청하는 경우 등기사항전부증명서상 거래금액 준용


     ㅇ 공시가격을 이용한 평가방법[http://www.realtyprice.kr]

     - 주택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장관(지자체장)이 평가ㆍ공시한 가격

     - 가격정보가 없어 공시가격으로 담보주택 평가 시에 대출한도가 부족하면 공시가격이 없는 것으로 보고 기금 부담으로 감정평가 실시 가능


     ㅇ 분양가격을 이용한 평가방법

     - 주택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장관(지자체장)이 평가ㆍ공시한 가격

     - 가격정보가 없고, 다음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신규입주아파트(분양전환 임대아파트 포함)에 대한 잔금대출 취급 시에는 분양가격(발코니 확장비용 포함)을 담보주택 평가액으로 적용

     - 다만, 할인분양 등으로 분양가격과 실제 계약금액이 상이한 경우 이 중 낮은 금액을 분양가격으로 적용

    < 담보주택 평가액으로 분양가격을 적용하는 신규입주아파트 요건 >
    1) 분양계약서 또는 입주자모집공고문 상 300세대 이상
    2) 대출접수일 또는 대출승인일이 (임시)사용승인일(다만, 분양전환 임대아파트의 경우에는 지자체의 분양전환승인일) 이후 6개월 이내


     ㅇ 감정평가액을 이용한 평가방법

     - 주택도시보증공사와 협약을 체결한 감정평가업자의 감정평가서상의 감정평가액

     ※ 감정평가서 발급일이 대출접수일로부터 6개월 이내

     - 아파트에 한하여 공동주택가격자문서 담보가액을 감정평가액으로 적용 가능

     - 가격정보 또는 분양가격을 적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채무자가 감정평가수수료를 부담하고 감정평가액 적용을 요청하는 경우

      · 매매가액이 가격정보보다 높은 경우에 한하여 감정평가 가능

      · 평가한 결과 감정평가액이 가격정보보다 크면 감정평가액 적용 가능(가격정보가 크면 가격정보 적용)

     ※ 다만, 가격정보 또는 분양가격이 대상주택가격 기준을 초과하면 감정평가액 적용 불가

  • 답변

    □ 담보평가

     - 대출접수일(또는 대출승인일) 현재의 “가격정보”, “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공시가격”, “분양가액”, “감정가액” 순서로 평가


     ㅇ 가격정보를 이용한 평가방법

     - 한국부동산원(부동산테크) 시세정보의 하한가와 상한가를 산술평균한 값 또는 KB국민은행 시세정보의 일반평균가를 적용

     - 필로티 여부를 불문하고 등기사항전부증명서(1호, 101호 등)에 따른 아파트의 최저층과 아파트 외의 주택은 하한가 적용

     - 다만, 매매가액*(낙찰가액, 분양계약서 상 실매매액 등 매수인이 실제 지급한 금액)과 비교하여 낮은 금액을 가격정보로 간주

     * 매매계약서를 징구하여 확인하되, 소유권이전 후 대출 신청하는 경우 등기사항전부증명서상 거래금액 준용


     ㅇ 공시가격을 이용한 평가방법[http://www.realtyprice.kr]

     - 주택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장관(지자체장)이 평가ㆍ공시한 가격

     - 가격정보가 없어 공시가격으로 담보주택 평가 시에 대출한도가 부족하면 공시가격이 없는 것으로 보고 기금 부담으로 감정평가 실시 가능


     ㅇ 분양가격을 이용한 평가방법

     - 주택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장관(지자체장)이 평가ㆍ공시한 가격

     - 가격정보가 없고, 다음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신규입주아파트(분양전환 임대아파트 포함)에 대한 잔금대출 취급 시에는 분양가격(발코니 확장비용 포함)을 담보주택 평가액으로 적용

     - 다만, 할인분양 등으로 분양가격과 실제 계약금액이 상이한 경우 이 중 낮은 금액을 분양가격으로 적용

    < 담보주택 평가액으로 분양가격을 적용하는 신규입주아파트 요건 >
    1) 분양계약서 또는 입주자모집공고문 상 300세대 이상
    2) 대출접수일 또는 대출승인일이 (임시)사용승인일(다만, 분양전환 임대아파트의 경우에는 지자체의 분양전환승인일) 이후 6개월 이내


     ㅇ 감정평가액을 이용한 평가방법

     - 주택도시보증공사와 협약을 체결한 감정평가업자의 감정평가서상의 감정평가액

     ※ 감정평가서 발급일이 대출접수일로부터 6개월 이내

     - 아파트에 한하여 공동주택가격자문서 담보가액을 감정평가액으로 적용 가능

     - 가격정보 또는 분양가격을 적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채무자가 감정평가수수료를 부담하고 감정평가액 적용을 요청하는 경우

      · 매매가액이 가격정보보다 높은 경우에 한하여 감정평가 가능

      · 평가한 결과 감정평가액이 가격정보보다 크면 감정평가액 적용 가능(가격정보가 크면 가격정보 적용)

     ※ 다만, 가격정보 또는 분양가격이 대상주택가격 기준을 초과하면 감정평가액 적용 불가

  • 답변

    ○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 업무처리지침 제3조제1항제1호와 제3호에 해당되는 주거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함


    <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 업무처리지침>


    제3조(입주대상자) ① 이 지침에 따라 사업시행자가 공급하는 주택에 입주할 수 있는 사람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사람 중 거주지 관할 시장·군수·구청장(이하 "시장 등"이라 한다.) 또는 사업시행자가 주거사다리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람이거나, 법무부장관이 주거사다리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통보한 범죄피해자에 한한다.(이하 "입주대상자"라 한다)
     1.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주거환경에서 3개월 이상 거주하는 사람(주거사다리 지원사업 신청일을 기준으로 하되, 최근 1년간 각 호의 거주기간을 합산하여 산정할 수 있다.)
      가. 쪽방
      나. 고시원, 여인숙
      다. 비닐하우스
      라. 노숙인시설(「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법률」제2조제2호)
      마. 컨테이너, 움막 등
      바. PC방, 만화방
     사. 최저주거기준(「공공주택업무처리지침」 [별표 6] 제5호 또는 「최저주거기준」공고 제2조 ‘용도별 방의 개수’를 말한다. 이하 같다.)에 미달하거나, 시장 등이 홍수, 호우 등 재해 우려로 인해 이주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「건축법」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지하층
     3. 최저주거기준을 미달하는 주거환경에서 만 18세미만의 아동과 함께 거주하고 있는 사람

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한 만족도를 선택해 주세요. 의견을 남겨주시면 최대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.

의견 작성시 특수문자는 입력하실 수 없습니다.

전체메뉴